대물대물 올라옵니다~! 참돔찌낚시는 반유동채비와 저부력 전유동 채비가 있죠>? 5.3m 갯바위 낚시대 1.5~2호, 대물용은 3~4호, 중형 스피닝릴을 추천합니다. 원줄은 나일론 3~4호, 대물용은 5~6호, 목줄은 플로로카본 3호와 대물용은 4에서5호 3에서4m, 감성돔바늘 5~6호나 참돔바늘 10~12호를 준 비. [1], 참돔 찌낚시 반유동채비추천으로는 면사매듭, 구슬, 구멍찌 B~5B 또는 0.8~1호, 완충고무, 수중찌, 도래, 좁쌀봉돌 B~3B로 채비합니다. [2], 참돔 찌낚시 저부력 전유동 채비는 구멍찌 B~5B 또는 -G2~0, 도래, 좁쌀봉돌 G2~B로 채비하세요. [3], 참돔 선상 막대찌 채비는 5.3m 갯바위 낚시대 2~4호, 중형 스피닝릴, 원줄 4~6호, 면사매듭, 구슬, 막대..
손막 두둑히 보았습니다!! 1> 겨울 감성돔 채비 가을에는 전반적으로 가벼운 채비를 쓰지만, 겨울은 무겁고 튼튼한 채비가 좋다. 이는 감성돔의 씨알을 의식한 것이기도 하지만, 매서운 북서풍의 영향을 조금이라도 덜 받기 위함이다. 그러면서 바닥층을 효과적으로 공략하기 위해 조금은 둔탁하지만, 고부력 반유동 찌가 매우 유리하다. 이때는 목줄이 조류에 날려 각이 많이 벌어지면 안 된다. 구멍찌는 0.8~2호 사이를 선택. 이왕이면 자중이 나가 여차하면 먼 거리를 공략할 수 있는 찌여야 한다. 같은 부력이라도 여부력이 많은 모델이 겨울철 거친 필드에 적합하다. 바람과 조류에 찌가 밀리다 보면, 원하는 경로로 흘리기 어렵다. 당연히 입질 포인트에서도 벗어나기 일쑤다. 이러한 현상을 보완하기 위해 3B 이상 ..
통 영 대 어 낚 시 국 도 출 조 전 문 ??^^ 자주 잡히는 농어를 잡기위해서는..? 입문자들은 로드와 장비에 대한 많은 신경과 시간을 투자하면서도 정작 캐스팅 방법과 농어를 히트시 낚시 각도에 대해서는 별로 관심이 없죠. 농어낚시에서 플로팅 타입이나 서스펜드 타입, 싱킹 타입을 가장많이 사용합니다. 기본적으로 모든 루어를 감아들일 때는 낚싯대 끝을 수면에 일치하고 즉 수평상태로 유지시켜주는게 중요포인트 로드가 들리면 루어가 제 수심층으로 들어가지 못하고 수면에 떠버리때문입니다. 떠버리는 경우 파도에 미노우가 뒤집히는 경우와 고유에 액션이 나오지 않으며 파도에 힘없이 끌려 나오게됩니다 캐시팅하고 로드를 수평상태로 유지하며 루어를 감아들인다 속도는 당일의 파고, 유속 등에 따라 다르게 주며 유속이 빠르..
수면위로 잡어활성도가 많이 보이지 않는대도 바닥 정렬전에 미끼가 빠르게 사라진다면 잡어의심을 해야하겠죠! 밑밥을 바로 발밑에 2,3번 치고 공략지점으로 던지고나서 본 밑밥을 던져 잡어 분리하는 방법이 있으며 대체미끼로는 깐새우-이소새우-경단이나 갯지렁이등을 준비하는 방법도 있어요 이도저도 모르겟고 준비가 안됫을시에는 채비를 가지고 잇는 것중에 수심이 낮더라도 최대한 무겁게 합니다 3호찌건 5호찌건 달아서 속공추로 최대한 빠르게 내려봅니다 이때 목줄도 길이를 줄여주면 도움이 됩니다. 3미터 목줄 썻다면 1.5미터 내까지 줄입니다. 좁살 위치도 최대한 내려보자구요! 바다낚시 팁정보 모음
이번에 출조나가서 대단한 손맛을 봤네요 석선장님에게 감사의 말씀을 드리며 다 .음 카페(CaptlnandSeastory)에서 사진을 가져왔습니다. 바다낚시의 종류를 나누는 기준은 실로 다양하다. 우선 그 첫째는 어떤 대상어를 목적하느냐이다. 동일한 대상어일지라도 어떤 방법으로 낚느냐에 따라 그 종류가 또 세분화된다. 결국 어떤 방법으로 낚느냐는 어떤 채비를 구사하느냐로 연결되는데 바닷고기를 낚는 방법, 즉 바다낚시 채비는 크게 다섯 가지로 압축된다. 여기에는 사용하는 도구, 낚시를 하는 상황, 채비를 운용하는 방법 등에 의해 현격한 차이가 있다. 같은 물고기를 낚는다 하더라도 아주 다른 느낌과 새로운 재미를 경험할 수 있는 것이다. 멋지지 않습니까? 국도의 포인트선정!! 그럼 제가이용한 찌낚시에 대한 정..